올림푸스 E-3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올림푸스 E-3는 2007년에 출시된 올림푸스 E-시스템의 디지털 일안 반사식 카메라이다. 라이브 뷰, 회전형 LCD 모니터, 11점 자동 초점 시스템, 바디 내 이미지 안정화 기능 등을 갖추고 있으며, 고품질 렌즈와 빠른 자동 초점을 원하는 전문 사용자들을 위해 설계되었다. 1010만 화소의 Live MOS 센서를 탑재하고, 셔터 수명 15만 회를 보장하며, 2009년에는 우주에서 지구를 촬영하는 "올림푸스 스페이스 프로젝트"에 사용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포서즈 시스템 - 올림푸스 E-410
올림푸스 E-410은 1000만 유효 화소, 4/3형 Live MOS 센서, 포서즈 시스템 마운트를 사용하며, 다양한 기능과 2.5형 액정 모니터를 탑재한 디지털 SLR 카메라이다. - 포서즈 시스템 - 올림푸스 E-30
올림푸스 E-30은 향상된 파인더, 아트 필터, 고속 이미저 AF 시스템을 특징으로 하는 올림푸스의 디지털 SLR 카메라로, 포서즈 시스템 마운트와 바디 내 손떨림 보정 기능을 통해 다양한 렌즈 사용을 지원하며, RAW 파일 편집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제공한다. - 올림푸스 DSLR 카메라 - 올림푸스 E-410
올림푸스 E-410은 1000만 유효 화소, 4/3형 Live MOS 센서, 포서즈 시스템 마운트를 사용하며, 다양한 기능과 2.5형 액정 모니터를 탑재한 디지털 SLR 카메라이다. - 올림푸스 DSLR 카메라 - 올림푸스 E-30
올림푸스 E-30은 향상된 파인더, 아트 필터, 고속 이미저 AF 시스템을 특징으로 하는 올림푸스의 디지털 SLR 카메라로, 포서즈 시스템 마운트와 바디 내 손떨림 보정 기능을 통해 다양한 렌즈 사용을 지원하며, RAW 파일 편집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제공한다.
올림푸스 E-3 | |
---|---|
기본 정보 | |
![]() | |
종류 | 디지털 단일 렌즈 리플렉스 |
렌즈 | 교환 가능 (포서즈) |
제조국 | 중국 |
이미지 센서 | |
종류 | Live MOS |
크기 | 포서즈 시스템 18.00 × 13.50 mm |
유효 화소수 | 3648 × 2736 (10.1 메가픽셀) |
셔터 | |
종류 | 전자 제어식 포컬 플레인 셔터 |
셔터 속도 | 1/8,000 ~ 60초 |
플래시 | |
내장 플래시 | GN=13 (ISO 100), 최대 3개의 외장 플래시 그룹 및 4개의 채널 무선 제어 |
측광 | |
방식 | TTL, 평가 (ESP), 중앙 중점, 스폿 |
노출 모드 | 프로그램, 셔터 우선, 조리개 우선, 수동 |
측광 모드 | ESP 멀티 패턴, 중앙 중점 평균 (60%), 스폿 (2%) |
자동 초점 | |
초점 영역 | 11개 양방향 교차 자동 초점 포인트, 선택 가능 |
초점 모드 | 단일, 연속, 수동 |
연속 촬영 | |
속도 | 초당 5.0 프레임 (19개 RAW 이미지 버퍼) |
뷰파인더 | |
종류 | 광학 TTL, 펜타프리즘 |
시야율 | 100% |
배율 | ×1.15 |
LCD 화면 | |
크기 | 2.5인치 |
화소수 | 230,000 화소 |
종류 | TFT LCD, 회전형 멀티 앵글 스크린, 라이브 뷰 |
저장 매체 | |
종류 | 콤팩트플래시(CF) 또는 xD 픽처 카드 |
배터리 | |
종류 | 올림푸스 BLM-1 1500mAh 리튬 이온 배터리 |
2. 주요 특징
올림푸스 E-1의 뒤를 잇는 올림푸스 E-시스템의 플래그십 DSLR 카메라인 E-3는 이전 모델에 비해 여러 기능과 성능이 향상되었다. 특히 전문가 사용자를 염두에 두고 개발되었으며, 휴대성과 견고함, 고성능을 동시에 추구하는 특징을 보인다.
주요 개선점으로는 라이브 뷰 촬영 기능과 다양한 각도에서 촬영 편의성을 높이는 풀 관절형 스크린 탑재, 넓은 다이내믹 레인지 표현을 위한 '그림자 조정 기술'(Shadow Adjustment Technologyeng)[3] 도입, 그리고 별도의 송신기 없이 최대 3개 그룹의 무선 플래시를 제어하는 기능 등이 있다.
성능 면에서는 자동 초점 시스템이 크게 개선되어, 새로운 초음파 모터(SWD) 렌즈와 결합 시 당시 기준으로 빠른 자동 초점 속도를 제공했다. 또한, 개선된 이미지 센서를 탑재하여 고감도에서의 노이즈 억제 능력이 향상되었고, 센서를 직접 움직여 흔들림을 보정하는 바디 내장형 이미지 안정화 기능과 시야율 약 100%의 크고 밝은 뷰파인더를 갖추었다.
내구성 측면에서는 마그네슘 합금을 사용한 견고한 바디에 방진·방적 설계가 적용되었으며, 이는 내장된 팝업 플래시를 올린 상태에서도 유지된다. 셔터 유닛 또한 150,000회의 작동 내구성 테스트를 통과했다. 센서 표면의 먼지를 제거하는 먼지 제거 시스템(초음파 웨이브 필터)도 탑재되었다.
이 카메라는 E-1, E-300, E-330, E-500, E-510 등 기존 모델에 사용된 BLM-1 배터리와 호환된다. 모델명이 E-2가 아닌 E-3로 명명된 것은, E-1과 비교하여 두 세대에 걸친 기술적 진보를 이루었음을 강조하기 위함이라고 알려져 있다.[5]
2. 1. 기술적 특징
올림푸스 E-1 이후 올림푸스 E-시스템의 플래그십 기종으로 출시되었다.[5] E-3는 여러 새로운 기술을 탑재하여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키는 데 중점을 두었다. 주요 특징으로는 라이브 뷰 기능과 해당 모드에서의 자동 초점 지원, 상하좌우로 자유롭게 움직이는 풀 관절형 스크린, 넓은 다이내믹 레인지 표현을 위한 '그림자 조정 기술'(Shadow Adjustment Technologyeng)[3], 그리고 별도의 송신기 없이 최대 3개 그룹의 무선 플래시를 제어하는 기능 등이 있다.성능 면에서는 11개의 모든 측거점에 십자형(크로스 타입) 센서를 채용한 개선된 자동 초점 시스템을 갖추었으며, 특히 올림푸스 주이코 디지털 ED 12-60mm f/2.8-4 SWD 렌즈와 결합 시 당시 세계 최고 속도의 AF 성능을 구현했다고 올림푸스는 발표했다.[5] 또한, 다이내믹 레인지가 넓어지고 데이터 읽기 속도가 향상된 고속 Live MOS 센서를 탑재하여 고감도 촬영 시 노이즈를 줄였다. 센서를 직접 움직여 흔들림을 보정하는 바디 내장형 이미지 안정화 기능과 초당 5매의 연속 촬영 속도도 지원한다.
사용성과 내구성 측면에서는 시야율 약 100%, 배율 1.15배(50mm 렌즈 사용 기준, 35mm 필름 환산 약 0.57배)의 크고 밝은 펜타프리즘 뷰파인더를 탑재하여 이전 모델의 단점을 개선했다. 칙소몰드 방식으로 제작된 마그네슘 합금 바디는 방진·방적 설계를 적용했으며, 셔터 유닛은 150,000회의 작동 내구성 테스트를 통과했다. 센서 표면의 먼지를 제거하는 먼지 제거 시스템(초음파 웨이브 필터, SSWF)과 외부 화이트 밸런스 센서도 갖추고 있다.
배터리는 E-1, E-300, E-330, E-500, E-510 등 이전 모델들과 동일한 BLM-1 배터리와 호환된다. 모델명이 E-2가 아닌 E-3로 명명된 것은, E-1과 비교하여 두 세대에 걸친 기술적 진보를 이루었음을 강조하기 위함이라고 알려져 있다.[5]
2. 1. 1. 자동 초점 시스템
올림푸스 E-3의 자동 초점(AF) 시스템은 빠르고 정확한 성능을 목표로 설계되었다. 측거점은 총 11개이며, 모든 측거점에 십자형 크로스 센서를 탑재하여 가로 및 세로 선 모두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센서 2열을 반 화소씩 어긋나게 배치하여 정밀도를 높였다. 이러한 구성은 다양한 촬영 환경에서 빠르고 정확한 초점을 잡는 데 기여한다.특히 올림푸스 주이코 디지털 ED 12-60mm f/2.8-4 SWD 렌즈를 장착했을 경우, 2007년 11월 출시 당시 세계 최고 속도의 자동 초점을 달성했다고 올림푸스는 주장했다.[5] 이 AF 센서는 ISO 100 기준 -2 EV의 저조도 환경에서도 작동 가능하다. 새로운 SWD(초음파 모터) 렌즈와 함께 E-3의 자동 초점 시스템은 고성능을 추구하는 전문 사용자들에게 중요한 기능으로 평가받았다.
2. 1. 2. 이미지 센서 및 처리 기술
올림푸스 E-3는 이미지 품질 향상을 위해 새로운 센서와 처리 기술을 도입했다. 기존의 Live MOS 센서에서 고속 Live MOS 센서로 변경되었으며, 이는 다이내믹 레인지가 넓어지고 데이터 읽기 속도가 향상된 특징을 가진다. E-3의 센서는 출시 당시 다른 올림푸스 DSLR 카메라보다 성능이 개선되어, 사용자는 더 높은 ISO 설정에서도 노이즈가 상대적으로 적은 이미지를 얻을 수 있었다.이미지 처리 기술 면에서는 '그림자 조정 기술'(Shadow Adjustment Technologyeng)[3]이 새롭게 적용되었다. 이 기술은 촬영 장면의 밝은 부분과 어두운 부분의 노출을 최적화하여 넓은 다이내믹 레인지 표현을 가능하게 한다.
AF 센서는 11개의 측거점 모두 십자형 크로스 센서로 구성되어 정확도를 높였다. 특히 이 센서들은 2열로 배치되면서 각 열이 반 화소(half-pixel)씩 미세하게 어긋나게 배열되어 피사체 검출 능력을 향상시켰다. 이 AF 시스템은 ISO 100 설정에서 최저 -2 EV의 낮은 조도 환경에서도 작동하여 어두운 상황에서의 촬영 성능을 개선했다.
또한, 센서를 직접 움직여 흔들림을 보정하는 방식의 바디 내장형 이미지 안정화 기능이 탑재되어, 장착하는 렌즈 종류에 상관없이 손떨림 보정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센서 표면의 먼지를 자동으로 제거하는 먼지 제거 시스템(초음파 웨이브 필터, SSWF)과 사용자가 직접 이미지 센서의 불량 화소를 보정할 수 있는 주문형 픽셀 매핑 기능도 갖추고 있어 유지보수의 편의성을 높였다. 이 외에도 카메라 내부 처리 과정이나 올림푸스 전용 소프트웨어를 통해 사진의 비네팅(주변부 광량 저하) 현상과 렌즈 왜곡을 보정하는 기능도 제공한다.
2. 1. 3. 라이브 뷰 및 회전형 LCD 모니터
E-3는 사용자 편의성을 높이는 라이브 뷰 기능을 탑재했다. 라이브 뷰 모드에서도 자동 초점이 가능하여[3], 다양한 구도에서 편리하게 초점을 맞출 수 있다.후면에는 풀 관절형 스크린 방식의 LCD 모니터가 장착되었다. 이 모니터는 올림푸스 E-330처럼 단순히 상하로만 움직이는 것이 아니라, 파나소닉 LUMIX DMC-L10과 유사하게 상하좌우로 자유롭게 움직이는 2축 회전 방식을 채택하여[5], 로우 앵글이나 하이 앵글 등 다양한 각도에서 화면을 보며 촬영하기 용이하다.
2. 1. 4. 기타 기능
E-3는 다양한 편의 기능과 전문가 수준의 성능을 지원하는 기능을 갖추고 있다.- 이미지 안정화: 센서를 직접 움직이는 방식의 바디 내장형 이미지 안정화 기능을 탑재하여, 어떤 포서즈 시스템 렌즈를 사용하더라도 흔들림 보정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 기능은 최대 5스톱(stop)의 셔터 속도 확보 효과를 제공한다.
- 먼지 제거 시스템: 초음파 진동을 이용해 이미지 센서 표면의 먼지를 털어내는 초음파 웨이브 필터(SSWF, Super Sonic Wave Filter)가 적용되어 이미지 품질 저하를 방지한다.
- 셔터 내구성: 150,000회의 작동 테스트를 통과한 셔터를 탑재하여 높은 내구성을 확보했다.
- 화이트 밸런스: 카메라 외부에 별도의 화이트 밸런스 센서를 장착하여 보다 정확한 색 재현이 가능하다.
- 연속 촬영: 초당 5매의 속도로 연속 촬영을 할 수 있다.
- 라이브 뷰: 후면 LCD를 보며 촬영할 수 있는 라이브 뷰 기능을 지원하며, LCD는 상하좌우로 움직이는 풀 관절형 스크린 방식을 채택했다. 라이브 뷰 상태에서도 자동 초점(AF)이 가능하다.
- 다이내믹 레인지 확장: '그림자 조정 기술'[3]이라는 이미지 처리 기술을 통해 암부와 명부의 표현 범위를 넓혀 넓은 다이내믹 레인지를 가진 장면 촬영에 유리하다.
- 무선 플래시 제어: 별도의 동조기 없이 내장 플래시를 이용해 최대 3개 그룹의 올림푸스 무선 플래시를 제어할 수 있다.
- 방진 방습 및 내구성: 마그네슘 합금으로 제작된 견고한 바디는 방진 방습 설계가 적용되어 있으며, 이는 내장된 팝업 플래시를 올린 상태에서도 유지된다. 프레임 제작에는 칙소몰드 방식이 사용되었다.
- 자동 초점 시스템: 11개의 측거점 모두 가로 및 세로 선 감지가 가능한 십자형(크로스 타입) 센서로 구성된 AF 시스템을 갖추고 있으며, ISO 100에서 −2 EV의 저조도 환경에서도 초점을 검출할 수 있다.
- 뷰파인더: 시야율 약 100%, 배율 1.15배(50mm 렌즈 사용 시, 35mm 필름 환산 약 0.57배)의 크고 밝은 펜타프리즘 뷰파인더를 탑재했다. 장시간 노출 시 뷰파인더로 빛이 들어가는 것을 막는 내부 셔터도 갖추고 있다.
- 기타 편의 기능: 외부 플래시 동조를 위한 'X' 동기화 단자와 유선 릴리즈 등을 연결할 수 있는 외부 원격 포트가 제공된다. 배터리는 이전 모델들(E-1, E-300, E-330, E-500, E-510)과 동일한 BLM-1을 사용한다. 또한, 핫픽셀(Hot pixel) 등을 보정하는 픽셀 매핑 기능, 비네팅 및 렌즈 왜곡 자동 보정 기능(카메라 내 또는 올림푸스 전용 소프트웨어 사용 시), 지속적인 펌웨어 업데이트 지원 등 사용자 편의 기능도 제공한다.
2. 2. 디자인 및 내구성
올림푸스 E-3는 극한 환경에서도 안정적인 촬영을 보장하도록 견고하고 신뢰성 높은 디자인을 채택했다. 전문가 사용자를 대상으로 하여, 휴대성과 가벼움을 유지하면서도 내구성을 높이는 데 중점을 두었다.환경 변화에 강한 마그네슘 합금 카메라 바디를 채용했으며, 특히 프레임은 칙소몰드 방식으로 제작된 마그네슘 합금을 사용하여 외부 충격과 거친 환경으로부터 카메라를 보호하며 높은 신뢰성을 제공한다.
또한, 방진·방적 기능을 갖추어 먼지나 습기가 많은 환경에서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내장된 팝업 플래시를 올린 상태에서도 방진·방적 성능이 유지되도록 설계되었다. 셔터 유닛은 150,000회의 작동 테스트를 거쳐 내구성을 확보했다.
3. 사양
항목 | 사양 내용 |
---|---|
모델 | E-3 |
이미지 센서 | 4/3형 하이스피드 Live MOS 센서 17.3mm×13mm |
유효 화소수 | 1010만 화소 |
렌즈 마운트 | 포서즈 시스템 마운트 |
AF 방식 | TTL 위상차 검출 방식 |
측거점 | 11점 |
측광 방식 | TTL 개방 측광, 49분할 디지털 ESP 측광, 중앙 중점 평균 측광, 스폿 측광, 스폿 측광 하이라이트/섀도 컨트롤 |
포커스 모드 | 싱글 AF / 컨티뉴어스 AF / MF / 싱글 AF+MF / 컨티뉴어스 AF+MF |
연사 | 약 5매/초, 최대 16매 (RAW), 용량 가득 찰 때까지 (JPG) |
ISO 감도 | 1EV 스텝, 1/3EV 스텝 / AUTO / 100 / 200 / 400 / 800 / 1600 / 3200 |
화이트 밸런스 | 오토 / 프리셋 3000-7500k / 커스텀 / 원터치 |
셔터 속도 | 60초 ~ 1/8000초 (M 모드), 벌브 (최장 30분) |
손떨림 보정 | 바디 내 손떨림 보정, 셔터 속도로 최대 5스탑 |
뷰파인더 | 아이레벨 일안 리플렉스 방식, 시야율 약 100%, 배율 1.15배, 프리뷰 가능 |
액정 모니터 | 2축 회전 방식 2.5형 하이퍼 크리스탈 액정 (반투과형 TFT 컬러 액정), 23만 화소 |
기록 매체 | CF 카드 Type I/II (UDMA 대응), 마이크로 드라이브 대응, xD 픽쳐 카드 |
전원 | 전용 리튬 이온 배터리 BLM-1 |
본체 크기 (W×H×D) | 142.5mm(W)×116.5mm(H)×74.5mm(D) |
무게 (본체만) | 약 810g |
4. 올림푸스 스페이스 프로젝트
올림푸스 회사 설립 90주년을 기념하여 E-3 카메라를 이용해 우주에서 지구를 촬영한 특별 프로젝트이다.
이 프로젝트는 국제 우주 정거장(ISS)의 일본 실험동 "키보"를 유상으로 이용하여 진행되었다. 우주 비행사 와카타 코이치는 우주 왕복선 디스커버리호의 STS-119 미션 수행 중 E-3 카메라를 "키보" 모듈로 가져갔으며, 2009년 4월 5일에 지구 촬영을 성공적으로 마쳤다. 당시 "키보" 내부에서 E-3 카메라와 와카타 코이치의 모습이 함께 촬영되기도 했다. 이는 일본인 우주 비행사가 "키보" 모듈을 유상으로 이용한 첫 번째 사례로 기록되었다.[6]
우주 환경에서의 사용을 위해 이 E-3 카메라는 몇 가지 특별한 개조가 이루어졌다. 안전 기준을 만족시키기 위해 전원으로는 일반적인 리튬 이온 2차 전지 대신 단 3형 건전지와 배터리 홀더 조합이 사용되었다. 또한, 분실 방지 및 촬영 편의를 위해 렌즈 캡은 특별히 제작된 투명한 것으로 교체되었다. 촬영에는 ZUIKO DIGITAL 11-22mm F2.8-3.5 렌즈와 ZUIKO DIGITAL ED 50-200mm F2.8-3.5 SWD 렌즈가 사용되었다.[7]
5. 평가
Digital Photography Review에서 2008년 2월 Simon Joinson이 E-3를 리뷰했다.[4] E-3는 출시 당시 올림푸스의 다른 DSLR보다 개선된 센서를 탑재하여, 높은 ISO 감도 설정에서도 노이즈 발생이 적은 결과물을 얻을 수 있었다.
새로운 SWD(초음파 모터) 렌즈와 함께 사용할 경우, 견고하고 휴대성이 좋은 가벼운 본체, 고품질 렌즈, 그리고 당시 동급 최고 수준의 자동 초점 성능을 원하는 전문 사용자들에게 좋은 평가를 받을 것으로 기대되었다.
6. 기타 올림푸스 디지털 일안 리플렉스 카메라
다른 올림푸스 디지털 일안 리플렉스 카메라 목록은 올림푸스 E-시스템#카메라 목록 문서를 참고하라.
참조
[1]
뉴스
Olympus E-3
http://www.dpreview.[...]
Amazon.com
2007-10-17
[2]
뉴스
Olympus E-3 DSLR Preview
http://reviews.photo[...]
2007-10-17
[3]
뉴스
Olympus E-3 Digital SLR Review
http://www.ephotozin[...]
2007-11-07
[4]
웹사이트
Olympus E-3 Review, February 2008, Simon Joinson
http://www.dpreview.[...]
Digital Photography Review
2008-02-01
[5]
뉴스
フォーサーズの長所を引き出したフラッグシップ「E-3」(デジカメWatch 2007年11月26日)
https://dc.watch.imp[...]
[6]
뉴스
日本人宇宙飛行士による最初の「きぼう」有償利用の実施について (宇宙航空研究開発機構 平成21年4月7日)
https://www.jaxa.jp/[...]
[7]
뉴스
オリンパス「E-3」が宇宙から地球を撮影 (デジカメWatch 2009年2月26日)
https://dc.watch.imp[...]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